소니의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스타일은 현실적이지 않고 만화적이며 극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.
이는 사실주의적 묘사의 Pixar와 대조적인 차별화된 스타일을 보여준다. 이 스타일은 단순한 시각적 특징을 넘어 새로운 시장 전략과 패러다임의 창조를 의미하며, 소니가 앞으로 어떤 시장 전략을 펼칠지에 대한 힌트를 제공한다.
소니와 pixar 스타일
특징 | Pixar 스타일 | Sony spiderman 스타일 |
랜더링 방식 | Physical Based Rendering (물리 기반 랜더링) | Cartoon Based Rendering (만화 기반 랜더링) |
목표 | 현실적인 묘사 및 물리 현상의 착각을 통한 초현실주의 | 현실 복제를 피하고 만화적이며 극적인 표현 |
스타일 | 세밀하게 묘사된 섬세한 디테일과 현실적인 텍스처 | 간소화된 형태, 만화처럼 느껴지는 버스트 및 단순화된 형상 |
Color | 자연스러움 | 강렬함 |
물리 표현 | 물리적인 블러 효과 및 포커싱 인/아웃 적용 | 대상에 대한 포커싱이 없고, 회화적인 표현 적용 하여 만화적 질감을 드러냄 매우 낮은 fps으로 극적인 효과를 발생시킴 |
대표적인 영화 | "Toy Story" "The Incredibles" 등 | "Spider-Man: Into the Spider-Verse" |
소니의 비사실주의적 묘사는 이 스타일의 핵심 부분 중 하나이다.
2018년에 공개된 '스파이더맨: 인 더 스파이더버스' 이후, 이러한 비사실주의적 표현은 다른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어 더욱 창의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
장화신은 고양이2에서 적용된 SONY 스파이더맨 스타일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Puss_in_Boots:_The_Last_Wish
As with DreamWorks' previous film The Bad Guys (2022), the film's design was inspired by Sony Pictures Animation's Spider-Man: Into the Spider-Verse (2018), to make the film look more like storybook illustrations,
소니의 스타일은 화면을 더욱 컨셉 아트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예술적인 차원에서도 주목받을 수 있다. 이는 애니메이션을 넘어 예술적 가치를 높이고, 소니의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이다.
소니의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스타일은 단순한 시각적 특징을 넘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창조를 의미한다. 이러한 프로젝트는 단순히 애니메이션 부문뿐만 아니라 소니의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.
참고
- pixar style https://youtu.be/6MOvht5fhqc?si=nPW6OuVVuQ4srkwj
- Sony Spider man style https://youtu.be/2xomWWncop0?si=-2ROGk5LKudwSn9Z
- SONY spider man 랜더링 특허 https://patents.google.com/patent/US11763507B2/en?oq=us+11763507b2
- Pixar와 Sony 스타일 비교
How "Spider-Verse" forced animation to evolve
Non-photorealistic rendering has opened up an alternative to the ubiquitous "Pixar look."
www.vox.com
'내가 쓴 글 > 기업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ONY의 AI; Gran Turismo Sophy 분석 (0) | 2023.12.03 |
---|---|
SONY 2023 Corporate Strategy Meeting Q&A summary (0) | 2023.12.03 |
SONY 23Q2 earning QnA summary (0) | 2023.12.02 |
SONY 23Q1 earning QnA summary (0) | 2023.12.02 |
SONY 22Q4 earning QnA summary (0) | 2023.12.02 |